Dialogue in the National Histories

김경태 「제6회 국사들의 대화 레포트」

이번 6회 국사들의 대화는 지난 1월에 이어 7개월 만에 개최되었다. 가까워진 거리는 쉽게 멀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더 자주 볼수록 사람들 사이의 친밀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번 대회에서는 모두가 익숙한 얼굴을 마주하고 반갑게 인사를 나눌 수 있었다.
이번에는 공통 주제 하나를 두고 한 명의 발표자가 문제제기를 하고 여러 사람들이 이에 대해 함께 토론하는 방식이 마련되었다. 주제는 모두가 이야기할 수 있는 주제 “사람의 이동”이었다. 이는 학술적으로도, 대중적으로도 논의가 뜨겁게 전개될 만한 주제였다.

9월11일, 오전 9시부터 온라인 회의의 준비가 시작되었다. 원활한 회의의 진행을 위해 갖은 노력을 해주신 사무국과 통역가 여러분들게 이번에는 가장 먼저 감사 인사를 올리고 싶다. 9시 정각, 이엔민 선생의 개회인사로 “대화”가 시작되었다. 무라 가즈아키 선생은 6회째를 맞는 이 회의의 이력과 취지를 설명하였다. 토론 시간이 부족하여 매번 아쉬움이 남았던 경험을 통해 이번 대회는 토론에 중점을 두는 방식을 택하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다만 실험적인 시도가 잘 될 것인지 여러분에 달려있다며 다소 걱정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은 성공이었다.

문제제기는 시오데 히로유키 선생이 담당했다. “사람의 이동에서 보는 근대 일본 : 국경, 국적, 민족”이라는 타이틀이었다. 역사 연구는 오랫동안 국가와 민족의 영향을 받았다. 그 틀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는 많았으나 주류가 되기는 어려웠다. 여러 시각을 포용하는 방법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시오데 선생이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준 사례들은 그간 생각지 못한 점을 떠올리게 했다. 이동의 자유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가, 무엇이 사람의 이동을 규정하는가에 대해, 일본 제국시기 조선인과 오키나와인의 이동 사례를 소개했다. 또한 사람의 이동이 무엇을 가지고 오는가, 무엇을 만드는 가에 주안점을 두고 하와이에서의 중국, 일본 이민자 간의 관계를 소개했다. 요컨대 국가가 사람의 이동에 미치는 강한 영향력에 대한 고민을 던져주는 발표였고, 중국 한국 연구자에게 국사 속에서 사람의 이동을 어떻게 이야기하고 있는지 질문을 던지는 문제제기이기도 했다. 생생한 사진을 통해 되살아난 사람들의 삶에서 하나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었다.

 

 

이에 대해 한중일 각국에서 2명씩 지정토론자가 나섰다. 조원 선생은 몽골 제국 시기 경제적, 정치적 요인에 의한 이동을 소개했다. 사람들의 이동이 활발해지는 중, 제국 안에서 다른 문화권에서 온 이들 간의 경쟁도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들 이동이 이후 역사에 미친 영향을 지적했다.
장지아 선생 역시 중국사의 이동을 예시로 들었다. 전쟁이 초래한 이동과 더불어, 정부가 주도한 강제적 이동과 정부가 개입하지 않은 경제적 이동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람들이 여러 규제에도 자발적으로 이동을 계속하여 삶을 계속했던 모습을 보여주었다.
에노모토 와타루 선생은 고대와 중세 일본의 구체적 사례를 소개해주었는데, 고대 일본은 출입관리를 엄밀히 했던데 비해 중세는 국가 관리가 없었고, 이에 이동하려는 이가 직접 여권의 역할을 하는 문서를 준비했다는 것이었다.

국가가 사람의 이동에 개입하려는 시도의 시간적 공간적 다양성을 엿볼 수 있었던 토론이었다. 한편으로 지금의 팬데믹 상황 속에서 바라보자면, 이동의 정지라는 것이 다른 한편으로 온라인에서 더 활발한 접촉을 이끌어낸 것 같은 느낌도 든다.

한성민 선생은 근대 한국인의 이동 양상을 세가지로 나누었는데, 첫째, 반자발적(생계)인 이동, 둘째, 국가 정책적 이민, 셋째, 식민지화 이후 강제동원이었다. 아울러 약자에 대한 애정을 담은 트랜스내셔널 관점의 도입을 제안했고, 이주한 곳에서 살아야 한 디아스포라의 문제를 감안할 때, 이주자 집단 간의 경쟁은 특수한 것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친팡 선생은 제임스 스콧의 《조미아》를 소개하면서, 중심과 변두리, 변두리와 경계 바깥의 균형, 그리고 그 사이를 오간 이들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동에 대한 국가의 관리와 함께 그 이면의 모습도 함께 살펴봐야할 것이다. 선생은 자신의 필드연구를 간략히 소개하면서 팬데믹 이후 변화한, 혹은 변화하지 않은 경계의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오쿠보 다케하루 선생은 사람의 이동을 또다른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근대화를 추진하던 나라에 고용된 외국인, 남양군도에 갔던 일본인의 원주민 인식의 사례였다. 사람들의 이동인 만큼, 여러 사례, 반대의 예를 살펴보는 것 매우 중요할 것이다. 주권국가에서 떨어져 나가는 난민은 어떻게 볼 것인가도 중요한 문제임을 확인해주었다. 한편, 동아시아를 넘어 다른 지역에 대한 시각도 공유하자는 의견을 제기했다.

이상의 지정토론을 통해, 다른 시대, 다른 지역에서 사람의 이동이 야기되는 정치, 경제적 이유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역사 속 국가의 관리 방식과 이유, 그럼에도 이를 넘어서려는 사람들의 역동적인 모습을 보며, 짧은 시간이었음에도 시야가 확장된 느낌이었다. 동일한 주제를 두고 자신의 전공 분야와 연관하여 짧고 간명하게 문제의식을 이야기하는 방식은 상당한 효용성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어진 세션은 지정토론자가 참여하는 자유토론 시간이었다. 남기정 선생이 사회를 맡아주었다. 여기에서는 이동의 자발과 비자발성의 구분이 논의의 중심에 있었다. 시오데 선생은 개인이 다양한 목적에서 이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이 이번 문제제기의 목적이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 이동을 좌우하는 것 중에 하나가 국가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었다. 국가와 개인은 일방적이 아닌 긴장관계라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동과 이주를 구분할 것이냐의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으며, 민족이란 네이션인가 에스닉 그룹인가, 에스닉 그룹 역시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등의 논의가 이어졌다.

3, 4세션은 패널리스트가 참여한 자유토론이었다. 보다 논의의 폭이 넓어졌다. 토론에 앞서 류지에 선생이 논점정리를 해주었는데, 무엇이 이동을 규정하는가, 이동은 무엇을 가지고 오는가, 각국의 국사교육이 이동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오늘날 사람의 이동을 역사적으로 바라볼 때의 의미였다. 덕분에 자유토론에 앞서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을 마련할 수 있었다.

다양한 세부 전공 분야를 가진 연구자들의 심혈을 기울인 질문과 논점 제기는 본 대화의 깊이를 더 깊게 만들었다. 사람의 이동을 생각할 때 인류에게 보편적으로 영향을 미친 종교에 초점을 맞추면 어떨까. 잊혀진 이동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며, 일반인들과 문제의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히라야마 노보루). 자발과 비자발은 큰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中動態”라는 개념, 즉 자발적이지 않지만 환경적으로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이 있다(오카와 마코토). 사람의 이동을 기축으로 해서 글로벌 히스토리를 그린다는 것은 중요한 시도이다. 이번 테마를 통해 고대~근대 국가 사회라는 것을 보다 객관적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아사노 도요미). 이동한 이주민이 현지와의 관계에서 생기는 문제, 이주 2세대들의 아이덴티티 문제(남기현). 이동과 노동력의 밀접한 관계(사토 유키). 사람의 이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감염병이 현대 사회에서 자국민 보호와 모순을 이루는 장면에서 느낀 의아함(이치카와 도모오), 등이 기억에 남았다. 또한 본 세션의 사회자였던 정순일, 펑하오 선생은 전공 분야인 중국과 일본의 여권, 호적 사례를 자세히 소개해주어 시대상의 이해에 큰 도움을 주었다. 한국의 사례가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것은 다소 아쉬웠으나 이는 한국사 전공자인 필자의 책임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토론시간이 마무리되었다. 이어서 송쯔융, 미타니 히로시 선생의 총괄, 조광 선생의 폐회인사가 이어졌다. 모두 공통적으로 토론이 더 전개되었으면 하는 아쉬움을 토로하였다. 아쉬움에도 불구하고 이번 회의가 충만하였다는 것에는 모두가 동의하였다. 미타니 선생은 기성세대가 생각하지 못했던 연구를 하고 발표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밝은 동아시아의 미래를 느꼈다고 하면서, 이렇게 만난 좋은 친구들과 함께 앞으로도 이 대화를 이끌어가 주기를 당부하였다.

제6회 대화로 다양한 시대와 분류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모여서 공통된 주제를 이야기한다는 것의 대단함을 깨달았다. 문제제기는 논의의 폭을 넓혔고, 지적 자극은 새로운 의문을 이끌어냈다. 토론은 끝이 날 수가 없는 것이다. 9월 11일의 토론시간은 끝났으나, 결코 세 나라의 대화는 끝나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국사들의 대화가 이어지는 한편으로, 각 연구자들이 자신이 속한 곳에서 “대화의 동료”들을 불러들여 “대화의 장”을 넓힐 수도 있을 것이다.

당일 사진

앙케트 결과

■김경태 Kim Kyongtae
대한민국 포항시 출신. 한국사 전공.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과정 중인 2010년~2011년 도쿄 대학 대학원 일본문화연구전공(일본사학) 외국인 연구생 자격으로 유학. 2014년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 취득.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고려대학교 인문역량강화사업단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 전쟁의 파괴적인 본성과, 전쟁이 초래한 황무지에서도 끊임없이 자라나는 평화 사이에 존재한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일본어판

 

중국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