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제8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을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사전에 참가 등록을 부탁드립니다. 청중 분들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오프로 한 Webinar 형식으로 개최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테 마: 「20 세기의 전쟁·식민지 지배와 화해는 어떻게 이야기되어 왔는가: 교육·미디어·연구」
일 시: 2023 년 8 월 8 일(화요일) 9:00~17:50, 9 일(수요일) 9:00~12:50 (한국 시간)
장 소: 와세다대 사회학부(14 호관 8 층) 및 온라인(줌 웨비나)
언 어:한중일 3 개국어 (동시통역 제공)
주 최: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가능성 실행위원회
공동주최: 아쓰미국제교류재단 세키구치 글로벌연구회(SGRA), 와세다대 첨단사회과학연구소·동아시아국제관계연구소
조 성 금 : 다카하시산업경제연구재단
※참가 신청 (참가비:무료)
문의: SGRA사무국(
[email protected], +81-(0)3-3943-7612)
■개최 취지
2016년부터 시작된 ‘국사들의 대화’ 목적은, 한중일 ‘국사(國史)’ 연구자의 교류를 심화함으로써 지(知)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3 국 간에 가로 놓여 있는 역사인식문제 극복에 지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아시아 역사문제의 기원은, 20 세기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둘러싼 인식 차이에 있다고 지적되곤 한다. 그러나 그간 진행된 한일, 중일 역사공동연구 보고서에서도 나타났듯, 개별적 역사 사실의 해석을 둘러싼 차이는 있으나, 20 세기 동아시아 역사의 큰 틀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동아시아 국제관계가 종종 역사문제로 갈등을 빚는 이유의 하나로, 상대방의 ‘역사인식’에 대한 인식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전후 동아시아는 냉전, 화해, 일본 주도의 경제협력, 중국의 대두 등 수차례 복잡한 변화를 경험했다. 각국은 각자의 정치·사회적 환경 속에서, 자국사의 문맥에 기반한 역사관을 형성하고, 국민에게 보급해 왔다. 전후 각국의 역사관은 대체로 폐쇄적인 역사 환경 속에서 형성되어온 것이다. 각국의 역사인식 형성과정, 내재하는 논리, 정치와의 관계, 국민 속에 확산되는 프로세스 등에 대한 정보는, 동아시아 역사가에게 공유되어 있지 않다. 역사인식을 둘러싼 대립은, 이와 같은 정보의 결여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20 세기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둘러싼 국민의 역사인식은, 국가의 역사관, 가정교육, 학교 교육, 역사가의 연구와 사회적 발신, 미디어, 문화·예술 등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면서 형성되어온 것이다. 역사가의 연구가 국가의 역사관과 긴장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학교 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금번 대화의 주제 가운데 하나는 ‘역사가가 전후 어떻게 역사를 연구해왔는가’이다. 전후 동아시아 각국에서는 격렬한 정치 변동이 발생했고, 역사가의 역사연구와 역사인식도 격렬한 동요를 경험했다. 역사가의 연구와 사회적 발신의 궤적을 되짚어 가는 것은, 각국 역사인식의 형성과정을 확인하는 유효한 수단일 것이다.
영화·TV 등 미디어도 국민의 역사인식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전후 각국은 각자의 역사관에 서서, 전쟁과 식민지에 관계된 작품을 다수 창작해왔다. 이 같은 작품이 국민의 역사인식에 준 영향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또한, 미디어 교류가 진행되는 속에서, 다수의 영화와 TV 드라마가 공동으로 제작되었다. 국민 서로가 이러한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역사 대화를 해왔다. 각국의 문화, 사회 환경이 역사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던 것일까? 이 역시 확인하고자 하는 문제 중 하나다.
역사인식을 둘러싼 국가 간 대립이 발생하면, 상대방 역사해석과 역사인식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일이 적지 않다. 그러나 자국 내에서 발생한 정치, 사회 변동에 유발된 역사인식의 대립이 오히려 더 많을 것이다. 상대방의 역사인식을 인식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사인식을 되묻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 같은 관점에서 제 8 회 국사 대화는, 지금까지의 대화를 더욱 심화할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프로그램
8월 8일 (화요일)
【제1세션 사회: 무라 가즈아키】
개회사: 류지에 (와세다대)
취지설명: 미타니 히로시 (도쿄대 명예교수)
【제2세션 부주제: 교육 사회: 남 기정】
발표:
김태웅 (서울대)
해방 후 한국인 식자층의 탈식민 담론과 역사서사 구성의 변화
탕샤오빙 (화둥사범대학)
역사 기억 전쟁과 역사 글쓰기 윤리—20 세기 중반 중국의 역사전쟁
시오데 히로유키 (교토대)
일본의 역사교육은 전쟁과 식민지 지배를 어떻게 전해왔는가: 교과서와 교육 현장에서 생각하다
【제3세션 부주제: 미디어 사회: 리 언민】
발표:
장페이 (난카이대)
자기 보호, 애국 및 굴종: 위만(偽満, ‘만주국’) ‘협력자’의 심리 탐색
후쿠마 요시아키 (리쓰메이칸대)
전후 일본의 미디어 문화와 ‘전쟁 이야기’의 변용
이기훈 (연세대)
현대 한국 미디어의 식민지, 전쟁 경험 형상화와 그 영향 – 영화, 드라마를 중심으로
【제4세션 부주제: 연구 사회: 쏭 지용】
발표:
야스오카 겐이치 (오사카대)
‘나’의 역사, ‘우리들’의 역사: 이로카와 다이키치의 ‘자기역사(自分史)’론을 단서로
양지혜 (동북아역사재단)
‘발전’ 너머, 새로운 역사쓰기의 가능성: 한국의 식민지기 경제사 연구의 향방
천훙민 (저장대)
중화민국기 중국인은 “일본 군벌”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인식했을까
논점정리:류지에 (와세다대)
8월 9일 (수요일)
【제 5 · 제 6 세션 전체토의(지정토론) 사회: 펑하오, 정순일 】
논의를 시작하며:
미타니 히로시(도쿄대 명예교수)
지정토론자(알파벳 순)
히라야마 노보루 (가나가와대, 일본)
김호 (서울대, 한국)
김헌주 (국립한밭대, 한국)
시보공 (중국미디어대, 중국)
요시이 후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일본)
위안칭펑 (중국미디어대, 중국)
장샤오강 (장춘사범대, 중국)
폐회인사:
조 광(고려대 명예 교수)
※동시통역
일본어⇔중국어:정 리(丁 莉, 북경대)、송 강(宋 剛, 북경외대)
한국어⇔일본어:이 혜리(李 恵利, 한국외대), 안 영희(安 暎姬, 한국외대)
중국어⇔한국어:김 단실(金 丹実, 프리렌서), 박 현(朴 賢, 교토대)
※프로그램 및 회의 자료는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 주십시오.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