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RA Report in Korean

  • SGRA 리포트 No.101 제7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역사 대중화’와 동아시아의 역사학」

      SGRA 리포트 No.101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제 69 회 SGRA 포럼 제7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역사 대중화"와 동아시아의 역사학 2023년 6월 21일 발행   〈개최 취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만연이 이어진 가운데, ‘국사들의 대화’에서는 온라인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해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 다만 이벤트 개최 환경의 개선이 당분간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종래 참가해온 사람들 간의 대화를 심화하는 데 중점을 둔 기획을 준비했다. 주된 목적은 각국 역사학의 현상황을 둘러싸고 국사 연구자들이 가진 고민을 서로 나누고, 각국의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여, 앞으로의 대화를 활성화하려는 데 있다 . 이러한 고민은 실로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금번에는 그 중에서도 각국 사회정세의 변모, 다양한 미디어, 특히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 하에서 새로운 수요에 맞춰 역사에 대한 언설이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과, 국사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역사에 관심을 가진 많은 이들에게 전해지지 못하고 기존 역사학이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을 구체적인 논제로 설정했다. 공통적인 배경이 있다고 하여도 각국의 사회적 변화 양상에 따라 구체적 상황은 다종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우선 이러한 상황인식을 ‘역사대중화’라는 말로써 묶어낸 뒤 각국의 현상황을 보고하고, 연구자 각각의 고민과 타개책을 가감 없이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   〈목차〉 제 1 세션 [ 종합사회 : 리 언민 ( 李 恩民, 오비린대 )] 시작하며 리 언민 ( 李 恩民, 오비린대 ) 개회취지 펑 하오 ( 彭 浩, 오사카공립대) 【문제제기】 ‘ 역사 대중화’에 대해 함께 생각해봅시다 한 성민(韓 成敏, 고려대) 【지정토론1 ( 중국)】 내가 접한 퍼블릭 히스토리 정 제시(鄭 潔西, 원저우대 ) 【지정토론2 (일본)】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전문가의 현위치와 경계 무라 가즈아키(村 和明, 도쿄대) 【지정토론3 (한국)】 한국의‘ 공공역사학’의 현황과 과제 심 철기(沈 哲基, 연세대) 【코멘트】 지정토론을 듣고 한 성민(韓 成敏, 고려대)     제 2 세션 [ 모더레이터 : 남 기정 ( 南 基正, 서울대 )] 자유토론 논점정리 : 류 지에(劉 傑, 와세다대) 패널리스트 : 문제제기자, 토론자, 국사대화 프로젝트 참가자   제 3 세션 [ 종합사회 : 리 언민 ( 李 恩民, 오비린대 )] 총괄 미타니 히로시(三谷 博, 도쿄대 명예교수) 폐회사 조 광(趙 珖, 고려대 명예교수)   강연자 약력   후기를 대신하여 김 경태   참가자 목록
  • SGRA 리포트 No.100 진격의 K- 컬쳐 ―신한류현상과 그 영향력

    SGRA 리포트 No.100(한국어 발췌)   제 20 회 한일아시아미래포럼 진격의 K- 컬쳐 ―신한류현상과 그 영향력 2022년 11월 16일 발행   〈포럼의 취지〉 지금 BTS는, 국적과 인종을 초월해 지구 시민을 하나로 아우 르는 콘텐츠를 내세워 글로벌 팬덤을 형성한 이른바 ‘BTS 현상’으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과연 BTS 문화력의 원천을 이루는 것은 무엇일까? BTS 현상은 한일관계, 지역협력, 그리고 세계화에는 어떤 함의를 갖고 있을까? 본 포럼에서는 한일, 아시아의 관련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러한 문제를 폭넓은 관점에서 논했다. 한일 전문가의 기조강연을 바탕으로 토론과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한일 동시통역 제공.   〈목차〉 【개회사】 이마니시 준코(아쓰미국제교류재단 상무이사, SGRA대표)   【제1 부】 [강연 1] 문화와 정치・외교를 둘러싼 개운치 않은‘ 바라보기’ 고하리 스스무(시즈오카현립대 교수)   [강연 2] BTS의 글로벌 매력: 외적, 환경적 조건과 내적, 역량 요인 한준(연세대 교수)   【제2 부】 [미니보고] 베트남에서의 K팝・J 팝 츄・스완・자오(베트남 사회과학원 문화연구소 상석연구원)   [강연자와 토론자의 자유토론] 토론자: 김현욱(국민대 교수) 히라타 유키에(일본여대 교수)   【제 3부】 [질의응답] 진 행: 김숭배(부경대 일어일문학부 조교수) 김은혜(부산대 사회학과 조교수) 답변자: 고하리 스스무(시즈오카현립대 교수) 한준(연세대 교수) 히라타 유키에(일본여대 교수)   【폐회사】 서재진(미래인력연구원 원장)   강사 약력   후기를 대신하여
  • SGRA 리포트 No.96 제6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사람의 이동과 경계・권력・민족

    SGRA 리포트 No.96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제 66 회 SGRA 포럼 제6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사람의 이동과 경계・권력・민족 2022년 8월 10일 발행     〈포럼의 취지〉 금번‘ 국사들의 대화’ 기획은, 자국 역사를 전문으로 하는 각국 연구자들의 대화·교류를 목적으로 2016년에 시작되어, 지금까지 총 5회 개최됐다. 국경을 넘어 수많은 참가자가 모여 , 각국 국사 ( 國史) 의 현상황과 과제 , 개별적인 실증연구를 둘러싼 논의와 교류를 이어왔다 . 제5회는 코로나 유행 속에서도 대화를 계속하기 위한 첫 온라인 개최를 시도함으로써 많은 참가자들의 흥미로운 발언이 있었으나, 토론 시간이 짧아 모든 쟁점을 소화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남겼다. 이번에는 다소 실험적으로, 자유로운 토론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과감하게 커다란 주제를 제시했다. 문제제기와 약간의 코멘트를 시작으로 나라, 지역, 시대를 넘어 논의를 풍부하게 전개해 지금까지 확대되어온 참가자의 연대를 한층 깊게 하고자 했다.   〈목차〉 제1세션 [종합사회 : 리 언민(李 恩民, 오비린대)] [개회취지]시작하며 무라 가즈아키(村和明, 도쿄대)   [문제제기]사람의 이동으로부터 본 근대 일본: 국경·국적·민족  시오데 히로유키(塩出浩之, 교토대)   [지정토론1]13~14세기 몽골제국기 사람의 이동   한국:조 원(趙 阮, 부산대)   [지정토론2]중국 역사의 대규모 사람의 이동 중국:장 지아(張 佳, 푸단대)   [지정토론3]고대 및 중세 일본의 출입국 관리  일본:에노모토 와타루(榎本渉,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제2세션 [사회:남 기정(南 基正, 서울대)]  【지정토론】 [지정토론4]근대에 이뤄진 한국인의 이동 한국:한 성민(韓 成敏, 세종대)   [지정토론5]중심에서 변경으로: ‘조미아’라는 개념  중국:친 팡(秦 方, 수도사범대)   [지정토론6]제국·인권·남양: 정치사상사의 관점에서 일본:오쿠보 다케하루(大久保健晴, 게이오대)   [코멘트] 시오데 히로유키(塩出浩之, 교토대)   【자유토론1】 강연자와 지정토론자      제3세션 [사회:펑 하오(彭 浩, 오사카시립대)]   【자유토론2】  논점정리:류지에(劉 傑, 와세다대)    패널리스트(국사대화프로젝트 참가자): 이치카와 토모오(市川智生, 오키나와국제대),오카와 마코토(大川真, 주오대),사토 유키(佐藤雄基, 릿쿄대),히라야마 노보루(平山昇, 가나가와대),아사노 도요미(浅野豊美, 와세다대),심 철기(沈 哲基,연세대),남 기현(南 基玄, 독립기념관),김 경태(金 𡇇泰, 전남대),왕 야오쩐(王 耀振,텐진외국어대),순 찌치앙(孫 継強,쑤저우대)     제4세션 [사회:정 순일(鄭 淳一, 고려대)]  【자유토론3】 패널리스트(국사대화프로젝트 참가자): 이치카와 토모오(市川智生, 오키나와국제대),오카와 마코토(大川真, 주오대),사토 유키(佐藤雄基, 릿쿄대),히라야마 노보루(平山昇, 가나가와대),아사노 도요미(浅野豊美, 와세다대),심 철기(沈 哲基,연세대),남 기현(南 基玄, 독립기념관),김 경태(金 𡇇泰, 전남대),왕 야오쩐(王 耀振,텐진외국어대),순 찌치앙(孫 継強,쑤저우대)   총괄:쏭 쯔융(宋 志勇, 난카이대), 미타니 히로시(三谷博, 도쿄대 명예교수) 폐회인사:조 광(趙 珖, 고려대 명예교수)   강연자 약력   후기를 대신하여 김 경태(金 𡇇泰), 미타니 히로시(三谷博)   참석자 목록
  • SGRA 리포트 No.94 제5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19 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전염병 유행과 사회적 대응

    SGRA 리포트 No.94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제65회 SGRA포럼 (기획안)  강연록 제5회 「한국・일본・중국에서의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원탁회의강연록 19 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전염병 유행과 사회적 대응 2021년 12월 15일 발행     〈포럼의 취지〉 금번 ‘국사들의 대화’ 기획은, 자국 역사를 전문으로 하는 각국 연구자들의 대화·교류를 목적으로 2016년에 시작되어, 지금까지 총 5회 개최됐다. 국경을 넘어 수많은 참가자가 모여, 각국 국사(國史)의 현상황과 과제, 개별적인 실증연구를 둘러싼 논의와 교류를 이어왔다. 제5회는 코로나 유행 속에서도 대화를 계속하기 위한 첫 온라인 개최를 시도함으로써 많은 참가자들의 흥미로운 발언이 있었으나, 토론 시간이 짧아 모든 쟁점을 소화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남겼다. 이번에는 다소 실험적으로, 자유로운 토론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 과감하게 커다란 주제를 제시했다. 문제제기와 약간의 코멘트를 시작으로 나라, 지역, 시대를 넘어 논의를 풍부하게 전개해 지금까지 확대되어온 참가자의 연대를 한층 깊게 하고자 한다.     〈목차〉 제1세션 [좌장: 무라 카즈아키 (도쿄대)] 【환영인사】 시작하며 이마니시 준코 (아쓰미국제교류재단)   【개회인사】 제5회 원탁회의를 개최하며 조 광 (국사편찬위원회)   【발표1】 개항기 조선의 콜레라 유행과 개항장 검역 박 한민 (동북아역사재단)   【발표2】 19세기 후반 일본의 감염병 대책과 개항장 이치카와 토모오 (오키나와국제대)   【발표3】 중국 위생 방역의 근대변천과 성격 위 신종 (남개대)   【지정토론】 [ 지정토론1] 발표자에 대한 코멘트 김 현선(명지대) [ 지정토론2] 발표자에 대한 코멘트 시오데 히로유키(교토대) [ 지정토론3] 발표자에 대한 코멘트 친 팡(수도사범대)     제2세션 [좌장: 남 기정 (서울대)] 자유토론 논점정리:류 지에(와세다대)   자유토론:패널리스트(국사대화 프로젝트 참가자)   총  괄:쏭 즈융(남개대)   코 멘 트 :아카시 야스시(전 유엔사무차장)   폐회인사:미타니 히로시(아토미학원여자대)     사전 코멘트   후기를 대신하여 김 경태 , 김 현선 , 히라야마 노보루   저자경력   참가자 리스트    
  • SGRA 리포트 No.95 기로에 선 한일관계 이제 어떻게 해야 하는가

    SGRA 리포트 No.95(한국어 발췌)   제 19 회 한일아시아미래포럼 기로에 선 한일관계 이제 어떻게 해야 하는가 2021년 11월 17일 발행   〈포럼의 취지〉 과거사, 경제, 안보문제가 연계된 복합방정식을 현명하게 풀어내지 못하면 한일관계가 파국을 면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제기된 지 오래다. 한일 상호의 피로감도 한계에 달했고, 한일관계의 복원력 저하, 한미일 삼각관계의 균열 조짐도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강제징용 및 위안부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정부는 일본과 함께 해법을 찾는다는 방침이지만 , 일본정부는 일본측이 받아들일 수 있는 해법을 한국이 먼저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좀처럼 접점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도대체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양국 정부는 무엇을 해야 하고 , 한일관계 연구자들에게는 무엇이 가능한가? 본 포럼에서는 한일관계의 전문가를 한일 각각 4명씩 초청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한일의 기조보고를 토대로 토론 및 질의응답을 진행했다.   〈목차〉 제1부 강연과 코멘트 【강연1】 기로에 선 한일관계: 이제 무엇을 해야 하는가 ---일본의 입장에서 오코노기 마사오(게이오대학 명예교수)   【코멘트1】 오코노기 선생님 강연을 듣고 심규선(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객원연구원)   【강연2】 기로에 선 한일관계: 이제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한국의 입장에서 이원덕(국민대학교 교수)   【코멘트2】 이원덕 선생님 강연을 듣고 이쥬인 아쓰시(일본경제연구센터 수석연구원)   제2부 자유토론 토론자 김지영(한양대학교 부교수) 니시노 준야(게이오대학 교수) 고하리 스스무(시즈오카현립대학 교수) 박영준(국방대학교 교수)   제 3부 질의응답 진행  김숭배(충남대학교 초빙교수)     후기를 대신하여 김웅희 (인하대학교 교수)   참가자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