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RA Report in Korean

  • SGRA 리포트 No.104 새로운 위협(이머징 리스크)·새로운 안전보장(이머징 시큐리티) –향후 정책에 대한 도전

    SGRA 리포트 No.104(한국어 발췌)   제 21 회 한일아시아미래포럼 새로운 위협(이머징 리스크)·새로운안전보장(이머징 시큐리티)--향후 정책에 대한 도전 2023년 11월 15일 발행   〈포럼의 취지〉 냉전 후의 국제관계에서 비군사적 요소의 중요성을 배경으로 글로벌 경제 갈등 , 빈부격차 확대 , 그리고 기후변화 , 첨단기술 침해 , 사이버 공격, 팬데믹 등이 새로운 안전보장의 범주에 포함되어 왔다. 전통적인 안전보장 문제가 지리적으로 근접한 국가 간에 발생하는 사안의 억제를 전제로 하는 데 반해 , 새로운 안전보장상의 리스크는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급속히 확대되고 , 나아가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국경을 넘는다.   다방면에 걸쳐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을 적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밀하고 포괄적인 분석과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본포럼에서는 한국의 ' 이머징 시큐리티 ( 새로운 안전보장 )' 연구와 일본의 '경제안전보장' 연구를 사례로 오늘날의 안전보장론과 정책개발의 새로운 쟁점과 과제에 대해 살펴봤다.   〈목차〉 개회사 서 재진 ( 재단법인 미래인력연구원 원장 ) 【제 1 세션】 [기조강연 1]신흥 안보 , 새 안보 패러다임의 부상 김 상배 (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 [기조강연 2]경제안보·기술안전보장의 현재 스즈키 가즈토 ( 도쿄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제 2 세션】 [코멘트 1]기조강연을 듣고 이 원덕 ( 국민대 사회과학대학 교수 ) [코멘트 2]복합지정학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일한협력 니시노 준야 ( 게이오기주쿠대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 [코멘트 3]한국과 일본의 공통된 도전 임 은정 ( 국립공주대 국제학부 부교수 ) 프로그램 및 목차 [코멘트 4]안보 , 국가, 리버럴리즘 김 숭배 ( 국립부경대 일본학 전공 조교수 )   【제 3 세션】 자유토론/질의응답  사 회: 김 웅희(인하대 국제통상학부 교수) 토론자: 김 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스즈키 가즈토(도쿄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이 원덕(국민대 사회과학대학 교수) 니시노 준야(게이오기주쿠대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임 은정(국립공주대 국제학부 부교수) 김 숭배 (국립부경대 일본학 전공 조교수)   총괄·폐회사  히라카와 히토시 ( 나고야대 명예교수 / 아쓰미국제교류재단 이사 , 제 21 회 한일아시아미래포럼 실행위원장 )   강연자 약력 후기를 대신하여
  • SGRA 리포트 No.103 「목조 건축문화재의 수리・보존에 대한 논의」

    SGRA 리포트 No.103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제 70 회 SGRA 포럼 목조 건축문화재의 수리・보존에 대한 논의 2024년 4월 25일 발행   <포럼 취지> 동아시아 각국은 같은 목조건축 문화권에 속하며, 서양과는 다른 형태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70회 SGRA포럼에서는 일본의 국보 건축물인 긴푸센지 니오몬 ( 金峯山寺二王門) 의 보존 수리공사 현장을 생중계로 연결해 일본인 수리기술자에 의한 현장 소개를 진행했습니다. 이어서 한국・중국・유럽의 전문가와 시민 대표로부터 각자의 의견을 듣고 , 시청자 질의응답을 통해 전문가와 일반 시민들 사이의 문화재 수리・복원과 보존을 둘러싼 논의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논의를 통해 목조 건축문화재의 수리・복원 방법과 보존의 실태를 파악하고 , 전문가와 일반시민 사이의 상호 이해를 촉진하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이 같은 취지의 포럼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해 주신 긴푸센지와 나라현 문화재보존사무소에 진심으로 감사 말씀드립니다.   〈목차〉 【시작하며】 종합사회 리 후이 ( 나라문화재연구소 어소시에이트 펠로우 / SGRA) 【개회사】 고조 료치 ( 긴푸센지슈겐혼슈 총본산 긴푸센지 관장 )   【화제 제시】 생중계  국보 긴푸센지 니오몬 보존 수리현장에서 다케구치 야스오 ( 나라현 문화재보존사무소 긴푸센지 출장소 주임 )   【토론 1】 [한국 전문가 코멘트] 한국의 문화유산수리와 부재 보존 강 선혜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기획행정팀장 ) 【토론 2】 [중국 전문가 코멘트] 고건축 긴푸센지 니오몬 보존수리에 대해 융 신췬 (중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관원 ) 【토론 3】 [유럽 전문가 코멘트] 일본의 목조건축유산보존의 특징 : 유럽과의 비교 알레한드로 마르티네스 ( 교토공예섬유대 조교 ) 【토론 4】 [시민 대표 코멘트] 문화재 수리보존에 대해 시민으로서 기대하는 것 시오하라 프로니 프리데리케 (BMW 그룹 재팬 / SGRA)   질의응답 모더레이터 : 김 민숙 ( 교토대 방재연구소 민간등공동연구원 / SGRA) 답변자 : 다케구치 야스오 ( 나라현 문화재보존사무소 긴푸센지 출장소 주임 ) 강 선혜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기획행정팀장 ) 융 신췬 (중국문화유산연구원 연구관원 ) 알레한드로 마르티네스 ( 교토공예섬유대 조교 ) 시오하라 프로니 프리데리케 (BMW 그룹 재팬 / SGRA)   강연자 약력 후기를 대신하여
  • SGRA 리포트 No.101 제7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역사 대중화’와 동아시아의 역사학」

      SGRA 리포트 No.101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제 69 회 SGRA 포럼 제7회 한국・일본・중국 간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 "역사 대중화"와 동아시아의 역사학 2023년 6월 21일 발행   〈개최 취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만연이 이어진 가운데, ‘국사들의 대화’에서는 온라인으로 심포지엄을 개최해 일정한 성과를 거뒀다. 다만 이벤트 개최 환경의 개선이 당분간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해, 종래 참가해온 사람들 간의 대화를 심화하는 데 중점을 둔 기획을 준비했다. 주된 목적은 각국 역사학의 현상황을 둘러싸고 국사 연구자들이 가진 고민을 서로 나누고, 각국의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를 공유하여, 앞으로의 대화를 활성화하려는 데 있다 . 이러한 고민은 실로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금번에는 그 중에서도 각국 사회정세의 변모, 다양한 미디어, 특히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 하에서 새로운 수요에 맞춰 역사에 대한 언설이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과, 국사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역사에 관심을 가진 많은 이들에게 전해지지 못하고 기존 역사학이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을 구체적인 논제로 설정했다. 공통적인 배경이 있다고 하여도 각국의 사회적 변화 양상에 따라 구체적 상황은 다종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우선 이러한 상황인식을 ‘역사대중화’라는 말로써 묶어낸 뒤 각국의 현상황을 보고하고, 연구자 각각의 고민과 타개책을 가감 없이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   〈목차〉 제 1 세션 [ 종합사회 : 리 언민 ( 李 恩民, 오비린대 )] 시작하며 리 언민 ( 李 恩民, 오비린대 ) 개회취지 펑 하오 ( 彭 浩, 오사카공립대) 【문제제기】 ‘ 역사 대중화’에 대해 함께 생각해봅시다 한 성민(韓 成敏, 고려대) 【지정토론1 ( 중국)】 내가 접한 퍼블릭 히스토리 정 제시(鄭 潔西, 원저우대 ) 【지정토론2 (일본)】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전문가의 현위치와 경계 무라 가즈아키(村 和明, 도쿄대) 【지정토론3 (한국)】 한국의‘ 공공역사학’의 현황과 과제 심 철기(沈 哲基, 연세대) 【코멘트】 지정토론을 듣고 한 성민(韓 成敏, 고려대)     제 2 세션 [ 모더레이터 : 남 기정 ( 南 基正, 서울대 )] 자유토론 논점정리 : 류 지에(劉 傑, 와세다대) 패널리스트 : 문제제기자, 토론자, 국사대화 프로젝트 참가자   제 3 세션 [ 종합사회 : 리 언민 ( 李 恩民, 오비린대 )] 총괄 미타니 히로시(三谷 博, 도쿄대 명예교수) 폐회사 조 광(趙 珖, 고려대 명예교수)   강연자 약력   후기를 대신하여 김 경태   참가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