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logue in the National Histories

SGRA 리포트 No.82 제2회「한국・중국・일본의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원탁회의 「몽고내습과 13 세기 몽고제국의 글로벌화」

 

SGRA 리포트 No.82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SGRA 리포트 No.82 (cover)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제 57 차 SGRA 포럼 (개요) 강연록
제2회 「한국・중국・일본의 국사들의 대화 가능성」원탁회의
「몽고내습과 13 세기 몽고제국의 글로벌화」

2018년 5월 10일 발행

 

 

〈포럼의 취지〉
 동아시아에 있어서「역사 화해」의 문제는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있다. 강화조약과 공동성명에 의해국가간의 화해가 법적으로 성립해도 국민 차원의 화해가 진전되지 않아 진정한 국가간의 화해는 어려운상황이다. 역사가는 역사 화해에 있어 어떠한 공헌이 가능한 지에 관해 생각해 본다.
 아츠미국제교류재단은 2015 년 7 월에 제 49 회 SGRA(세키구치 글로벌연구회)포럼을 개최해 「동아시아의공공재」와 「동아시아 시민사회」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이러한 가운데 먼저 동아시아에 있어「지의공유공간」 또는 「지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여기에서 화해로 연결되는 지혜를 동아시아에 제공하는 것에대한 의의를 확인했다. 이 플랫폼에 「국사들의 대화」라는 코너를 설치하게 된 것은 2016 년 9 월 아시아미래회의를 계기로 개최된 제 1 차 「국사들의 대화」였다. 지금까지 3 개국 연구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형태의대화가 진행되어 왔지만 각국의 역사 인식을 좌우하는 「국사 연구자」들간의 대화는 아직 본격적으로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인식하에 먼저 동아시아에서 역사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에 관해 생각했다.
 구체적으로는 미타니 히로시 선생님(도쿄대학 명예교수), 갈조광 선생님(복단대학 교수), 조광 선생님(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의 강연을 통해 3 개국이 각자의 「국사」 속에서 아시아의 사건을 어떻게 다루고있는지를 검토했다.
 제 2 회 대화는 자국사와 타국사와의 관계를 보다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몽고내습과 13 세기몽고제국의 글로벌화」라는 테마를 설정했다. 13 세기 전반의 「몽고내습」을 각국의 「국사」 속에서 논할경우 일본에서는 일본문화의 독립이라는 시점이 강조된다. 또한 중국에서는 몽고(원조)를 「자국사」로간주하면서 몽고내습을 몽고와 일본과 고려라는 중국의 외부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다룬다. 하지만 동아시아전체의 시야에서 보면 몽원의 고려·일본 침략은 문화적으로 각국의 자아의식을 환기시키고 정치적으로는 중국중심의 화이질서의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었다. 「국사」와 동아시아 국제관계사의 접점에는 지금까지의식하지 않았던 새로운 역사상의 존재 가능성이 기대된다.
 물론 본회의의 목적은 입장에 따라 다양한 역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 「대화」에 의해 어떠한합의를 도출하려는 것은 아니다.

 

목차

개회세션 [사회: 리 엔민(李恩民, 오비린대학)]

[기조강연] ‘포스트몽골 시대’? -14~15세기 동아시아사를 재검토한다 

거 자오광(葛兆光, 복단대학)

 

제1세션 [좌장: 무라 카즈아키(村和明, 미쓰이 문고) 펑 하오(彭浩, 오사카시립대학)]

[발표논문1] 몽골 임팩트의 일환으로서의 ‘몽골의 침입’ 

욧카이치 야스히로(四日市康博, 쇼와여자대학)

[발표논문2] 아미르 아르군과 그가 후라산 등지에서 진행한 두 차례 호구조사 

초크트(朝克图, 내몽골대학)

[발표논문3] 몽골습래회사(蒙古襲来絵詞)를 해석한다

  • 두가지 발문(奥書)의 검토를 중심으로 

하시모토 유(橋本雄, 홋카이도대학)

 

제2세션 [좌장: 서 정파(徐静波, 복단대학)], 나히야(娜荷芽, 내몽골대학)]

[발표논문4] 몽골제국 시대 몽골인의 명명(命名)습관에 관한 고찰 

에르둔바토르(额尔敦巴特尔, 내몽골대학)

[발표논문5] 몽골제국과 화약병기-메이지와 현대의 ‘원구(元寇)’ 이미지 

무카이 마사키(向正樹, 도시샤대학)

[발표논문6] 조선왕조가 편찬한 『고려사』에 수록된 원의 일본 침공에 관한 서술 

쑨 웨이궈(孫衛国, 남개대학)

 

제3세션 [좌장: 한 승훈(韓承勲, 고려대학교), 김 경태(金冏泰, 고려대학교)]

[발표논문7] 일본 원정을 둘러싼 고려 충렬왕의 정치적 의도 

김 보광(金甫桄, 가천대학교)

[발표논문8] 대몽전쟁・강화의 과정과 고려의 정권을 둘러싼 환경 변화 

이 명미(李命美, 서울대학교)

[발표논문9] 북원(北元)과 고려의 관계에 관한 고찰-우왕(禑王) 시대의 관계를 중심으로 

체렝도르지(其林道尔吉, 몽골과학원 역사연구소)

 

제4세션 [좌장: 김 범수(金範洙, 동경학예대학), 리 엔민(李恩民, 오비린대학)]

[발표논문10] 몽골 제국 음식문화의 고려 유입과 변화 

조 원(趙阮, 한양대학교)

[발표논문11] ‘심첨호모(深簷胡帽)’ 연구-몽원(蒙元)시대를 풍미한 여진족 모자의 변천사 

장 지아(張佳, 복단 대학)

 

전체토의 

사회 / 정리: 류지에(劉傑, 와세다대학), 논점정리: 조 광(趙珖, 한국국사편찬위원회)

총괄: 미타니 히로시(三谷博, 아토미학원여자대학)

 

후기를 대신하며

김 경태(金冏泰), 미타니 히로시(三谷博), 쑨 웨이궈(孫軍悦), 나히야(娜荷芽), 펑 하오(彭浩)

 

저자약력 

 

참가자 리스트